레이블이 통계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통계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2년 12월 15일 목요일

한국시장은 제대로 작동해오지 않았다

개인투자자들 중에서도 금투세를 찬성하는 사람들이 더러 있었다. 아마도 대부분의 이유는 '너무나 강한 정치적 성향 때문'이리라 생각한다. 내가 아는 대부분의 친 민주성향 투자자들은 금투세에 반대하고 있다. 본인의 정치적 성향보다는 개인의 이익과 상식이 우선이라서 그렇다고 했다. 

반면, 강한 정치적 성향을 바탕으로 금투세 찬성을 고수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수집해 보았다. 

'소득이 있는 곳에 세금이 있다'는 근본적 주장에 이어 '과거에 이러이러한 정책들이 시행 되었으나, 사람들의 우려와는 달리 우리나라 시장은 아무 문제없이 잘 작동해왔다'는 논리가 주로 뒤따라 붙었다.

정말 우리나라 시장은 '아무 문제 없이', '잘' 작동해 왔을까?

대한민국 GDP 변화
<자료 : 통계청, 송종식>

1996년 우리나라의 GDP(국내총생산)는 490조 원이었다. 약 25년 후 2021년에는 2,027조 원으로 성장했다. GDP 규모가 약 4.1배 성장했다. '이것밖에 안돼?'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우리나라 경제의 고도 성장은 70~90년대에 두드러진다. 70년대 부터 시작하면 훨씬 가파른 성장률이 나온다.

주식시장의 시가총액
<자료 : 통계청, 송종식>

주식시장은 경제를 비추는 거울이다. 거울답게 주식시장 규모도 빠르게 커왔다. 같은 기간 코스피 시장의 시가총액은 117조 원에서 2,203조 원으로 무려 19배 가까이 커졌다. 코스닥 시장은 1997년에 7조 원으로 시작해서 2021년에는 446조 원으로 63.7배나 커졌다.

그렇다면 그에 걸맞게 지수도 상승했을까?

한국 양대 주식시장의 지수 상승률
<자료 : 통계청, 송종식>

지수 상승률은 충격적이다. 우리나라의 독특한 지수 산출 방식과 진입, 퇴출된 회사를 모두 감안하더라도 상승률이 너무 낮다. 시가총액은 각각 19배, 64배 커졌다. 반면 같은 기간 코스피 지수는 3.92배 상승했고, 코스닥 지수는 되레 1.3% 하락했다. 오래전부터 지수 ETF가 있었다면 어땠을까? '기업에 투자할 자신이 없으면 지수 ETF에 투자하고 잊어버리라'는 버핏의 조언은 우리나라에서는 결과적으로 틀렸다.

우리나라 주식시장은 제대로 작동해 오지 않았다. '아무 문제없이 잘 작동해왔다'는 사람들의 말은 거짓이다.

또한, '주가는 기업의 가치에 수렴한다'는 말이 적어도 한국에서는 일정 부분 작동하지 않았다. 이런 시장의 특성 덕분에 우리나라에서 큰 돈을 번 사람들은 1) 가치투자를 표방한 모멘텀 트레이더, 2) 정말 운 좋게 펀더멘털이 가격에 잘 반영된 기업에 장기투자를 해 온 사람, 3) 단타의 신 정도 밖에 없는 것이다. 특히, 미국에 비하면 우리나라는 모멘텀 성향이 굉장히 강하게 작동하는 시장이다.

이것은 근본적으로 한국 사회의 신뢰 기반이 약한 것에서 출발한다. 시장으로 국한해 보면 투자자들이 시장과 기업에 대한 신뢰가 지극히 낮아서 발생하는 문제이다. 마음놓고 회사에 거금을 투자해서, 편안한 마음으로 두 발 뻗고 장기투자를 할 환경이 조성되어 있지 않은 탓이다.

상장사의 수
<자료 : 통계청, 송종식>

투자자가 시장과 기업을 가장 불신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내 지분 가치가 희석되는 것'이 아닐까 싶다. 그 중 단연 압권은 '계속해서 늘어나는 주식 수', 그렇다 그것이 가장 문제다. 시장에 자금은 제한적인데 공급되는 주식 수가 늘어나면 당연히 주가는 오르지 못한다. 우리나라 시장의 근본적 문제는 이것을 막는 것에서 출발한다.

혹자는 시장에 신규 상장 기업이 많은 것이 문제라고 한다. 하지만 위에서 보듯 그것은 핵심적인 문제가 아니다. 1996년부터 2021년까지 생각보다 기업의 수는 많이 늘어나지 않았다. 물론, 상장을 했다가 퇴출된 회사도 무수히 많다. 하지만 현재 시가총액의 성장 수준을 보면 그런 부분은 생각하지 않아도 된다. (물론, 재벌산하의 초대형 대기업들의 알까기식 시장 진입은 영향이 분명히 있다.)

그리고 또, 시장에 혁신적인 기업이 많이 진입하면 더 좋다. 시장에 활기가 돌면 좋은 것이지 나쁠 게 없다.

위의 몇가지 지표를 보고 눈치 빠른 사람은 눈치를 챘으리라.

'주식시장에 들어 온 엄청난 양의 자금을 소수의 누군가가 편법적으로 모조리 빨아들였다. 우리의 부(富)는 어디로 증발했는가?' 

이런 결론에 쉽게 도달할 수 있다. 국민들과 주주가 누려야 할 부의 상당액이 소수 재벌들과 대주주들 주머니로 흘러갔음을 유추할 수 있다. 그 방법은 다양하다. 대표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은 끝없는 유상증자, CB/BW 발행, 물적분할과 같은 관행들이 있을것이다.

상속세와 증여세 개선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 전에 시장에서 주식 수가 불필요하게 늘어나는 부분이 가장 먼저 고쳐져야 한다.

궁극적으로는 '상법 제382조의3 (이사의 충실의무)' 개정이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다. 아마 '거버넌스 개선', '상법개정'과 같은 문제들이 재벌들의 이해관계와 정면충돌 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초기득권인 그들의 벽을 넘는 것이 쉽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이런 문제들을 고쳐내지 못하면 우리 모두의 부(富)는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계속 소수의 사람들에게 착취될 것이다. 이제 이 정도면 눈치를 채야한다.

저출산 고령화, 금투세, 저급한 거버넌스와 투자환경 등. 한국 시장을 보면 당장 암울함 투성이다. 그렇지만 거버넌스 문제만 해결되면 코스피 지수가 4,000포인트나 5,000포인트로 치솟지 말라는 법도 없다. 거버넌스만 개선되어도 한국 시장은 투자하기에 아주 매력적인 시장이 된다. 지금까지 낮은 멀티플을 유지해 온 것 자체가 시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는 증거다. 망가진 시장이라는 증거다.

자금 공급보다 신규 발행되는 주식의 공급이 많았다. 그런 결과로 지금까지는 시장의 자금들이 수직으로 솟구치지 못하고, 수평으로 퍼져 버렸다. 시장의 잘못된 관행과 구조들을 개선하면 우리나라 시장의 막대한 잠재력을 수직으로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다.

2022년 12월 15일
송종식


2020년 6월 21일 일요일

2인 가구에도 주목하자 (feat. 2019 한국의 사회지표)

통계청에서 한국의 사회 지표를 발표했습니다. 2019년 데이터로 최신 버전입니다. 이 문서를 간략히 읽어보는 유튜브 영상을 하나 만들었습니다. 영상은 본 포스팅 하단에 게재하겠습니다. 영상을 찍고 나서 놓친 부분이 있습니다. 무미건조한 통계안에 인사이트가 몇가지 있었습니다. 그 부분을 영상에 담지 못했습니다. 영상에서는 뻔한 이야기만 늘어 놓았습니다. 그래서 영상에 담지 못한 내용을 뽑아내서 포스팅을 해봅니다.

2인 가구에도 주목하자


1인 가구 증가는 메가트렌드입니다. 이 사실을 모르는 사람은 없습니다. 시장에서도 이젠 빚 바랜 이슈입니다. 제 블로그에서는 2014년에 '1인 가구 증가'에 대해서 다룬적이 있습니다. 대한제분오뚜기의 분석 리포트를 통해서입니다.

우리가 1인 가구 증가에 집중하는 동안, 2인 가구 역시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혹시 우리가 2인 가구 증가와 관련된 이슈를 놓치고 있는 건 아닌지 점검이 필요하다고 느꼈습니다.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는 1+2인 가구
<자료 : 통계청>

20년 전, 3인 이상 가구 비중은 65.4%였습니다. 지금은 그 비중이 43% 수준까지 내려갔습니다. 반면, 1인 가구 비중은 15.5%에서 29.3%로 두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세상과 시장이 생각하는대로 1인 가구 증가폭은 가파릅니다. 2인 가구 비중 역시 19.1%에서 27.3%로 49.2%나 증가했습니다.

20년 전 1+2인 가구의 비중은 34.6%에서 지금은 57% 수준까지 높아졌습니다. 이제는 1+2인 가구 형태가 한국의 대표적 가족 구성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경향과 추세는 앞으로도 꾸준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어쨌든 이 지점이 우리가 투자를 하면서 놓치는 부분이었을 수도 있습니다. 1인 가구만 바라보지 말고, 2인 가구도 눈여겨 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을 합해서 1+2인 가구를 아우르는 시장을 찾을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1인 가구와 2인 가구의 생활 방식은 미묘하게 다릅니다. 이 부분을 조금 통찰력 있게 바라 본다면 새로운 종목을 발굴할 수도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폐렴 사망자 급증


한국인 사망률 1위는 역시나 암(악성신생물)입니다. 건강 카테고리이기 때문에 교통사고 사망자, 자살로 인한 사망자 수치는 제외된 통계입니다. 어쨌든, 이 통계에서 재미있는 사실을 하나 발견할 수 있습니다.

급격하게 증가하는 페렴으로 인한 사망률
<자료 : 통계청>

뇌혈관질환으로 사망하는 사람은 줄어들고 있습니다. 그러나 심장질환과 폐렴으로 사망하는 사람은 급격히 늘었습니다. 특히, 폐렴으로 인한 사망자가 크게 늘었습니다. 2005년에는 인구 10만 명당 8.6명이 폐렴으로 사망하였습니다. 그러던 것이 현재는 45.4명까지 급증하였습니다.

2000년대 부터 중국 경제는 굴기를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2010년대 들어서 중국발 미세먼지의 습격이 거세졌습니다. 아마 그 영향으로 폐렴 사망자가 늘어난 게 아닐까 추측해 봅니다. 물론 제 개인적인 생각일 뿐입니다. 제대로 리서치를 해본 것은 아닙니다. 다만, 확실한 것은 폐렴으로 인한 사망자는 확실히 증가 추세에 있다는 점입니다.

중국이 환경에 대해 인식하지 않으면 이 부분은 당분간 개선되기 힘들다고 봅니다. 폐렴과 관련한 투자 아이디어를 찾아 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늘어나는 생애 병치레 기간


우리나라도 이제는 세계 최장수 국가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국가별 평균 수명 상위 국가는 다음과 같습니다. 1위가 모나코로 89.73세, 2위는 일본으로 84.41세 그리고 3위가 우리나라로 83.01세입니다. 기대 수명 역시 스페인과 일본에 이어서 우리나라가 3위 수준입니다.

명실공히 우리나라도 이제 장수 국가의 반열에 오른 것입니다. 의료시스템이 잘 되어있고, 음식과 운동을 통한 건강관리 문화도 널리 자리를 잡았습니다.

기대수명도 늘어나고, 병치레 기간도 늘어난다
<자료 : 통계청>

기대수명은 꾸준히 늘었지만 건강 수명은 서서히 줄어들고 있습니다. 이것은 유병 기간이 늘어난다는 의미입니다. 82.7년의 기대수명 중 약 20년은 병치레를 하면서 살아간다는 의미입니다.

누구나 알다시피 노인 인구는 증가합니다. 그리고 여기에 늘어나는 유병 기간을 곱해보면, 제약주의 미래는 당분간도 밝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제약주 뿐만 아닙니다. 이와 관련된 다양한 투자 아이디어를 만들어 볼 수도 있겠습니다.

여가 시간이 늘지만 시설 이용 비율은 감소


사람들의 근로 시간은 꾸준히 줄어들고 있습니다. 이것 또한 메가트렌드입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남는 시간을 여가 시간에 투입하고 있습니다.


늘어나는 여가시간, 줄어드는 여가 시설 이용 충족도
<자료 : 통계청>

여가시간은 전반적으로 늘었습니다. 불과 1년만에 평일 충족도는 5.8%p, 휴일 충족도는 6.6%p나 증가하였습니다. 1년 만에 지표가 가파르게 개선되고 있습니다. 이것은 주 52시간 근무제의 영향이 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여가시간도 늘고 여가 비용도 늘고 있는데, 여가시설 이용 충족도는 감소하고 있습니다. 여가 시간 활용을 실내 보다는 실외에서 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습니다. 2019년까지는 해외여행 수요가 급증했던 것이 지표로 나타나는 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2020년에는 해외여행 객수는 급감하였습니다. 대신, 캠핑이나 차박 여행객이 급증하였습니다. 코로나 이슈 때문입니다. 해외 여행길이 막히자 차선으로 캠핑과 차박 여행이 뜬 것 같습니다. 이 부분도 잘 살펴봅시다. 수혜 섹터와 수혜 기업이 몇개 눈에 들어옵니다.


본 문서에 대한 요약본에 대한 리포트 읽기는 유튜브에서 간략히 진행하였습니다. 그리고 문서를 좀 더 자세히 읽고 싶으신 분들은 통계청에서 해당 문서를 다운로드 하여 읽어보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0년 6월 21일
송종식 드림



2018년 7월 11일 수요일

지금 이 순간 세계는..

7,630,745,837명

6월 현재 인구입니다. 초당 10명씩 증가하고 있습니다.

66,539,722명

올해 6월까지 태어난 아기들의 숫자입니다.

27,560,274명

올해 6월까지 사망한 사람들의 숫자입니다.

2,711,361대

오늘 반나절동안 팔려나간 스마트폰의 숫자입니다.

828,034,057명

지구 한쪽편에서는 먹을 것이 부족해 기아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13,933명

오늘 반나절 동안만 14,000명이 배고픔에 시달리다가 죽었습니다.

1,660,985,559명

식량 보급 기술의 발달로 16억명이 넘는 사람이 과체중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706,983,061명

부유한 몇몇 나라의 국민들은 비만입니다.

2,361,682명

올해 6월까지 흡연으로 236만 명이 사망했습니다.

506,609명

반년동안 50만 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습니다.

188,993,619,090달러

올해 6월까지 마약에 지출된 금액입니다. 마약 시장은 거대합니다.

1,575,294,901,897배럴

남은 석유..

16,428일

석유 고갈까지 50년 정도 남았습니다.

3,950,462,163명

세계 인터넷 이용자는 10초에 100명꼴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출처 : http://www.worldometers.info/kr/

2018년 6월 22일
송종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