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0월 11일 토요일

넥슨지티의 모바일 드라이브는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Go!

한 넥슨지티 주주분과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그분이 이런 이야기를 했습니다.

'넥슨지티는 서든어택M: 듀얼리그, 슈퍼판타지 워, 서든어택2 이후엔 신규 오픈하는 게임은 내년에는 없을 것이다.' 라고요.

그러나 제 생각은 달랐습니다. 400명 가까이 되는 직원을 1년 내내 놀릴리 없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사측의 자세한 경영 계획은 연말께 가야 윤곽이 나올 것 입니다. 그래서 아직은 내년에 개발되는 신규 게임에 대한 정보는 시장에 공개된 게 없습니다. 그러니 이 부분에 대한 것을 제가 알수는 없습니다.

다만, HR사이트나 넥슨지티 채용사이트를 보면 대충 내년에 신규 게임을 개발할지 안할지에 대한 감은 잡을 수 있습니다. 소프트웨어/게임 회사는 인사 이동이 잦기 때문에 채용 정보는 수시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글을 쓰는 현재 넥슨지티의 신규 채용 정보, 클릭하면 커집니다 <출처:넥슨지티 채용사이트>

공식 채용사이트에 가보면 글을 쓰는 현재는 19건의 신규 인력 채용건이 올라와 있습니다. 올라오는 채용 정보 중 말머리를 보세요. 어떤 게임에 신규 인력이 필요한지 달아놓은 말머리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서든어택] 이런식으로요. 특이한 점은 [모바일]관련 말머리가 많이 보입니다. 내년 겨울 방학 시즌에 오픈 예정인 서든어택2 관련 신규 채용 정보도 많네요. 어쨌든 신규 채용 인력 대부분 모바일 게임으로 배치될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기존에 PC용 IP인 서든어택에 편중된 기업의 체질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모바일 게임회사로 변화할 것임을 암시하고 있습니다.

눈에 띄는 몇가지 채용 정보를 통해 내년의 모습을 살짝만 예상해 보겠습니다.

TG실 모바일 프로그래머 채용 공고 중 일부 <출처:넥슨지티 채용사이트>

TG실에서 진행중인 모바일 게임 개발자 채용 정보입니다. 안드로이드 뿐 아니라 iOS 개발 능력자를 뽑습니다. 모바일 게임들을 글로벌 시장에서 히트시킬 의지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통상 국내 스마트폰 유저만을 대상으로 한다면 안드로이드 개발자만으로 충분합니다. 국내 시장은 독특하게도 안드로이드 이용자가 스마트폰 이용자의 90%를 육박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iOS 개발자를 채용하는 것은 모바일 게임들을 가지고 국내에서만 승부를 보지 않을거라는 예상을 해볼 수 있습니다.

'신규 모바일' 관련 채용 정보 <출처:넥슨지티 채용사이트>

[신규모바일] 말머리를 달고 올라온 채용 정보입니다. 아마 내년에 새롭게 개발될 모바일 RPG관련 인력인 것 같습니다. 채용 정보를 보시면 '주 캐릭터의 애니메이션 제작'이 주요 업무인 것으로 보아 '슈퍼판타지 워' 관련 채용은 아닌 것 같습니다. 슈퍼판타지 워는 이미 개발이 거의 끝난 게임이니까요. 액션RPG 게임 개발과 플레이 경력을 원하는 것으로 보아 내년에 신규 모바일 액션 RPG게임이 추가로 개발될 것 같네요.

채용정보만 가지고 내년에 어떤일이 있을지는 알 수 없습니다. 12월쯤 경영계획이 나올건데 그때 가봐야 윤곽이 나오겠죠. 그리고 내년의 일은 막상 내년에 가보면 경영계획대로 되지는 않을테고요. 처음에도 말씀드렸지만 400명 가까운 인력을 그냥 놀리지는 않을 것이고 내년에도 모바일 게임이 많이 론칭되리라 예상됩니다.

컴투스, 게임빌, CJ E&M이 치고 나가는 모바일 게임 시장입니다. 모바일 드라이브에서 한발 늦었다는 평가를 받는 NXC그룹이 본격 모바일 드라이브를 걸고 있으니 내년에 본격적인 체질전환 & 성장 드라이브를 기대해봅니다.

2014년 10월 11일
송종식 드림

연관글



주의사항 : 글을 쓰는 현재 저는 동사의 주주임을 알려드립니다. 본 포스팅에서 언급된 비지니스 전망과 현황, 수치, 지표 등은 모두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또한, 전적으로 제 주관적 의견들임을 다시 한번 알려드리며 개인적으로 학습한 내용을 다른 투자자분들과 교류하고 의견을 나누기 위해 작성한 글임을 알려드립니다. 본 포스팅을 토대로 투자 하시지 않으시길 부탁드리며, 투자 판단과 의사결정 그리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이해를 부탁드립니다.

* 출처를 표기해 주신다면 얼마든지 퍼가셔도 좋습니다. 단, 상업적 이용은 불가능 합니다.

위험성 안내 : 이 글은 매수와 매도를 추천하는 글이 아니며 개인적 학습 내용을 공유하기 위한 참고적 용도의 글입니다. 또한, 이 글은 법적 증빙 자료로 활용될 수 없음을 고지드립니다.


2014년 10월 1일 수요일

다음카카오, 4년전 연매출 천만원짜리 회사가 다음을 집어삼키다

연간 매출액 천만원, 직원 22명. 아이위랩(IWILAB). 김범수 의장이 NHN에서 퇴직한 후 설립했던 벤처기업이다. 작은 벤처동 건물에서 소규모 팀으로 시작했던 회사다. 불과 4년전 얘기다. 이런 작은 팀이었던 아이위랩이 카카오로 덩치를 키웠다. 그리고는 한때 우리나라 최고 포털이었던 '다음(daum)'과 합병한다.

합병 후 카카오 법인은 해산하고 다음은 존속한다. 법률적으로는 다음이 카카오를 흡수합병한다. 그러나 이면을 보면 카카오가 다음을 인수해서 우회상장을 하는 모양새다. 최대주주는 김범수 의장으로 합병 후 지분율은 39.8%다. 다음의 최대주주였던 이재웅 전 대표의 지분율은 3.6%가 된다. 다음카카오의 최대주주는 김범수 의장이 되고 경영권을 장악한다. 사실상 카카오는 다음을 통해 덩치를 키우는 모습이다.

어쨌든 다윗이 골리앗을 먹어버린 사건이다. 카카오의 위대한 승리를 보면서 벤처인들의 가능성을 본다. 다른 한편으로는 포털 1위 자리를 네이버에 내주고 힘을 못 쓰다가 결국에는 역사속으로 사라지는 다음을 보니 안타깝기도 하다.

김범수 의장님은 나를 모르지만 나는 김범수 의장님을 잘 안다. 너무 유명한 사람이기에 IT판에서 허드렛일이라도 했던 사람은 그를 모를리가 없다.

김범수의 아이위랩은 축구로 치면 수비수가 아니라 공격수였다. 계속 슛을 찼다. 2008년에 부루닷컴이라고 미국에서 사진 공유 서비스를 오픈했었고, 우리나라에서는 위지아라는 설문조사/추천 서비스를 오픈했다.


두개 다 써봤다. 신경써서 잘 만든 서비스들이었다. 위지아는 재미있기까지 했다. 그런데 빛을 못봤다. 그 서비스들은 처참히 망했다. 그럼에도 아이위랩은 부지런히 슛을 찼다. 당시 김범수 의장님은 콘텐츠 소비 채널이 모바일 트렌드로 이동하는 것을 감지한 것 같다. 웹을 포기하고 모바일로 전투 장소를 옮겼다.

카카오수다, 카카오아지트, 카카오톡 총 3종의 모바일 서비스를 내놨다. 카카오 아지트가 2010년 2월에, 3월에는 카카오톡, 3월 30일에 카카오수다를 오픈했다.

그리고 6월에 카카오글로벌 서비스를, 8월에는 안드로이드 버전의 카카오톡을 오픈했다. 정말 엄청난 속도다. 2009년 초반부터 모바일에 대한 학습을 시작하면서 워밍업을 다졌지만 실제 카카오의 전신이 만들어진 것은 2010년 상반기 반년 동안이라고 보면 된다. 6개월간 만든게 4년후 오늘 시가총액 수 조원 규모의 회사로 재탄생한다. 놀랍다.

전략은 '다:다 커뮤니케이션 채널'인 카페, '1:다 커뮤니케이션 채널인 블로그', '1:1 또는 다:다 실시간 커뮤니케이션 채널'인 메신저 등 모바일로 할 수 있는 가장 큰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채널들을 모두 커버리지 하는데 있었다.

이 전략 중 카카오톡이 시장에서 먹혀들어갔다. PC시장은 검색이 주류이지만 스마트폰은 기본적으로 통신 수단이기에 메시징 서비스 시장이 가장 클 것이라는 전략이 먹혔다. 이를 감지하자 회사 이름을 아이위랩에서 카카오로 재빠르게 바꾸고 카카오톡에만 모든 역량을 집중한다.

카카오 이전에도 쟁쟁한 경쟁자들이 있었고 이후에도 쟁쟁한 경쟁자들이 있었다. 재미있는 건 다음이 만든 마이피플이 한때나마 카카오보다 잠시 인기를 끌었던적도 있다. 카카오는 말을 못한다며 mvoip를 마이피플이 부각시키는 등 서로 직접적으로 공격을 해가며 마케팅을 했던적도 있었다. 어쨌든 결과는 카카오가 승리했지만. (한번 만들어진 네트워크는 깨기가 쉽지 않은걸 또 보여줌, 그래서 라인은 아예 카카오가 잠식한 한국 시장을 포기하고 해외부터 공략하는 전략을 써서 성과를 거둠)

카카오가 메신저 시장에서 커갈 때 모바일 콘텐츠 시장 자체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성장하고 있었다. 기술 격차가 적은 분야라 어떤 메신저든지 론칭만 하면 기본적인 덩치는 키울 수 있던 시기였다. 소위 말해 '선빵 때린 사람들이 누리는 시대'였다.

경쟁에서의 승리 요인 중 하나는 '원활한 서비스'였는데 카카오는 천재적인 2가지 눈높이 마케팅으로 시장을 잠식해 나갔다. 일정 회원이 넘어가자 서비스가 불안정해졌다. 당시 서비스 불안정에 대한 이용자들의 불만이 컸다. 이는 자칫 이용자 이탈로 이어질 수 있었다. 서버 증설이 필요했다.

여기엔 막대한 자본도 필요하다. 이륙하는 로켓엔 연료가 필요한데 마침 김범수 의장님에게는 돈도 있었다. 적시에 서버를 늘렸다. 거기서 그치지 않았다. 메신저에 번개 마크를 달았다. 번개마크가 달리면 '겁나 빠른' 앱으로 업그레이드 된거라고 어필했다. 이 어필은 시장에서 먹혔다. 번개마크 어필 후, 사람들은 카카오는 불안정한 서비스라고 여기지 않았다. 어쩌면 서버 증설만 한 후, 간단히 공지사항 하나로 때웠어도 될 것을 재미있는 마케팅으로 연결 시켜 사람들에게 제대로 각인시켰다.

유료 메신저 서비스는 알아서 성장이 멈췄고 서비스가 불안정하던 다른 메신저들은 카카오에 밀리기 시작했다. 일단 네트워크 효과가 생기면 이를 깨기가 쉽지 않다.

두번째 천재적인 마케팅은 '무료문자'로 어필한거였다. 거의 대다수 이용자들은 주고 받는 메시지가 '패킷'인지, 'SMS'인지 관심도 없고 알지도 못한다. 사용하는 통신망이 기지국을 거치는지 랜선을 거치는지 와이파이를 거치는지도 모르던 시대였다.

그런 기술적인 부분을 일일이 설명하느니 '무료문자'한마디로 어필하는게 시장에는 파급력이 컸다. 이것도 먹혔다. 사람들은 '문자 메시지를 공짜로 보낼 수 있다'는 말에 너도나도 카카오를 다운로드 받았다. 대중들은 문자요금 10~20원에도 민감하다는걸 간파한거다. 이건 어려운 가정환경 속에서 자란 김범수 의장님의 환경 덕분이라 본다. 과연 재벌집 아들들이 저런걸 간파할 수 있었을까? (그러고보면 예전에 네이트온이 MSN으로부터 PC용 메신저 시장을 뺐을 때도 하루에 무료 문자 10개를 준다고 하면서 시장을 잠식했던 것 같다. 서비스 회사에게 무료 마케팅은 참 강력하다. 특히 기존에 돈주고 쓰던 것을 무료로 대체할 수 있을때는 파급력이 쎄진다.)

카카오는 인간 본성을 꿰뚫고 다룰 줄 아는 회사였던 것 같다. 더불어 린 스타트업이란 어떤 것인가를 제대로 보여 준 회사다.

오늘은 4살짜리 카카오가 조(兆)단위 시총을 자랑하는 다음을 집어삼키고 다음카카오로 다시 태어나는 날이다.

IT산업은 정말 역동적이고 빠르다. 오늘의 루저가 내일의 위너로, 오늘의 위너가 내일의 루저가 되는 곳이다. 주변에 있는 평범한 개발자도 다시 봐야하지 않겠나 싶다. 나중에 어떻게 될지 모르니. 그리고 3년마다 한번씩 포털 1등이 교체된다고 했는데 그 정설을 깨고 살아남아 꿋꿋하게 1등 자리를 잘 지키는 네이버는 정말 아무리 생각해도 대단하다.

2014년 10월 1일
송종식


김범수 의장님에게서 배울 점 : 선택과 집중, 지속적인 슈팅, 유연한 의사결정, 남들의 상상을 초월하는 매우 빠른 실행과 프로덕트 개발, 퍼블릭한 시장을 찾는 능력, 퍼블릭한 대중을 상대하는 언어의 선택, 버릴때 버리고 바꿀때 바꾸는 결단력